공통 상수를 인터페이스에 정의하는 이유는 뭘까?
공통 상수 값을 인터페이스에 정의하는 이유가 예전부터 궁금했었다. 처음에는 메소드가 필요 없어서 interface로 설계를 했나라고 그러려니 했었는데 다른 사람이 만들어놓은 소스를 보다보니 그 이유를 알게 […]
더 보기 →공통 상수 값을 인터페이스에 정의하는 이유가 예전부터 궁금했었다. 처음에는 메소드가 필요 없어서 interface로 설계를 했나라고 그러려니 했었는데 다른 사람이 만들어놓은 소스를 보다보니 그 이유를 알게 […]
더 보기 →토비의 스프링 책을 보다 SpEL을 알게 되었고, 이를 샘플 프로젝트에 설정해 보았다. 간단하게 끝날 줄 알았던 설정이 1시간 동안의 삽질을 선물해 주었고, 이런 삽질을 다른 […]
더 보기 →이클립스 egit을 쓰면서 항상 불편한 점이 있다. 로컬 repository에 commit 후 github에 push 할 때 인증을 위한 아이디,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. 처음 egit을 사용했을 때에는 이 […]
더 보기 →자바 1.5에서부터 제너릭 기능이 추가 되었다. 내가 아는 제너릭은 타입 캐스팅의 비용을 줄이고, 런타임시에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며, 가독성이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 나온 기술이라고 알고 […]
더 보기 →스프링을 공부하다 보면 빈, 빈 팩토리,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, 스프링 컨테이너, IoC 컨테이너 등 다양한 용어들이 나온다. 궁극적으로 이 용어들이 가리키는 것은 스프링 설정 xml 파일을 […]
더 보기 →메이븐 기반 웹 프로젝트에서 이클립스의 Run on Server의 tomcat을 구동하면 자꾸 index.jsp 페이지에서 NullPointException이 발생한다. index.jsp 페이지에는 “index” 라는 문자열만 딸랑 있는데 웬 Exception? 서블릿관련 […]
더 보기 →오픈 소스를 사용하다보면 특정 클래스가 어떤 방법으로 코드가 구현되어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. 난 이클립스에 jad를 추가하여 decompile된 class파일을 보았는데 코드가 깔끔하게 나오지 않아서 불편했다. […]
더 보기 →관계형 테이터베이스 테이블과 객체 사이의 mapping 처리를 해주는 것을 ORM(Object relational Mapping)이라고 한다. 쉽게 말해 SQL문 작성 없이 간단한 매핑 설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데이터를 Java […]
더 보기 →현재 프로젝트에서는 commons dbcp pool과 tomcat jdbc pool을 사용하고 있다. 몇일 전에 스터디 그룹에서 나왔던 얘기가 apache commons dbcp는 하드웨어 멀티 코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서 […]
더 보기 →maven의 의존 라이브러리(jar)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으면 내 로컬 PC의 C:\Users\namkyu\.m2\repository 디렉토리에 저장 된다. 하지만 내 로컬 PC 개발 환경은 D드라이브의 dev 폴더로 집중하기 때문에 C 드라이브에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것이 […]
더 보기 →